반응형 Computer Science27 쿠키와 세션, 그리고 토큰 웹 서비스는 대부분 사용자별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사용자의 정보를 담을 수 있는 '계정'을 만들기 위해 먼저 회원가입을 요구하고, 해당 계정의 활동내역을 차곡차곡 저장해서 나중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시청 내역을 가지고 새로운 영상을 추천해 주거나, 쇼핑할 때마다 적립해 주었던 포인트를 가지고 새로운 상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죠. 사용자는 자신이 계정의 소유자임을 인정받기 위해 서버에 가입할 때 기재했던 아이디와 패스워드 정보를 넘겨줘야 합니다. 이 행위를 로그인이라고 합니다. 좀 더 포괄적인 의미에서 인증(Authentication)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서버에서는 사용자가 제출한 아이디와 패스워드 정보를 DB에 저장된 것과 대조합니다. 두 가지 정보가 서로 일치한다면 사용.. 2023. 4. 5. TCP/IP 4계층 모델은 어떻게 사용될까? OSI 7계층과의 차이 학교에서는 여전히 OSI 7 계층을 가르치고 시험에도 자주 나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TCP/IP 계층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연구 시기는 비슷하지만 TCP/IP가 먼저 발표되기도 했고, 4계층에 불과해 유연하고, 구현하기도 쉽기 때문입니다. TCP/IP 4계층이 표준으로 자리잡으면서 OSI 7 계층은 학교에서만 배우는 모델이 되어버렸습니다. 하지만 OSI 7 계층 역시 여전히 이론적, 교육적 용도에서는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비교해보면, OSI 7계층 TCP/IP 4계층 Application 응용 Application Presentation 표현 Session 세션 Transport 전송 Transport Network 네트워크 Internet DataLink 데이터링크.. 2023. 3. 16. OSI 7계층 이해하기 기술면접 단골 주제 중 하나이기 때문에 OSI 7계층에 대해서는 잘 알고 계시거나, 적어도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저는 기사 시험 준비를 하면서 [물데네전세표응]만 달달 외웠던 것 같습니다. OSI 7계층이 필요한 이유 OSI 7계층은 네트워크 사이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필요한 것들을 계층별로 나눠놓은 개념 모델로서 국제 표준입니다. 계층이라는 표현보다는 단계라고 하는 것이 이해하기엔 더 쉬울 것 같습니다. 이런 걸 굳이 왜 만들어서 사람을 피곤하게 하느냐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는데 어느 계층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지 파악하기가 쉬울 뿐 아니라 서로 다른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시스템 사이에서 원활하게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또 개발자, 관리자 입장에서도 네트워크 통신.. 2023. 2. 17.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의미, 요소, 기능 프로토콜 은 약속입니다. 약속의 당사자는 서로 통신을 원하는 송신자들과 수신자들입니다. 프로토콜이 필요한 이유는 정보를 정확히 주고받기 위해서입니다. 가장 흔하면서도 중요한 프로토콜로 HTTP가 있습니다. TCP/IP, ARP, RARP, SMTP 등등 P로 끝나는 단어는 대부분 프로토콜이라고 보면 됩니다. 프로토콜의 핵심 요소 로는 구문(Syntax), 의미(Semantic), 타이밍(Timing)이 있습니다. 구문 은 주고 받을 정보의 구조와 형식을 의미합니다. 구문을 통해서 데이터를 어떻게 읽을 것인지, 어떤 순서로 표시될지를 알 수 있습니다. 의미 는 각각의 필드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해석합니다. 또 전송 제어와 에러 발생 시 처리 방법을 포함합니다. 타이밍 은 데이터 손실을 막기 위해서 .. 2023. 2. 14. 네트워크 토폴로지 토폴로지(Topology)라는 것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설계 방법을 말합니다. 토폴로지라는 단어 자체는 위상, 각 요소의 배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메시형 Mesh 모든 노드가 point-to-point(ptp)로 서로 연결되어 어느 하나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선을 많이 깔아야 하니 비용은 많이 들게 됩니다. 또 하나의 노드에 여러 케이블을 연결해야 하므로 이렇게 생긴 Multistation access unit(MSAU)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전체 네트워크의 일부만을 메쉬형태(partial mesh)로 만들기도 합니다. 스타형 Star 중앙의 허브에 모든 노드가 ptp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중앙 제어 노드의 입장에서.. 2023. 2. 8. 네트워크의 의미와 분류 네트워크란 네트워크는 그물처럼 연결된 통신망을 의미하는 net와 여러분이 제일 싫어하는 work의 합성어로, 통신망을 이용해 일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터넷은 net과 net을 연결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네트워크보다 더 넓은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의 분류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1. 회선 교환망(아날로그) + 독립적인 회선을 통해 통신하므로 보안에 강하지만 - 설치 비용이 많이 들고,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양도 적으며 전송 효율도 떨어지는데다 눈치 없이 회선을 독점하는 놈이 있으면 네트워크 전체 효율을 낮추게 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2. 패킷 교환망(디지털) 모든 노드를 연결해 놓고 데이터만 패킷 단위로 쪼개서 전송하는 방식으로, 패킷은 마치 혈관을 타고 흐르는 지방 덩어리들처럼.. 2023. 2. 6.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