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0

API 개발의 동반자, Postman API 방식의 웹 개발은 대부분 JSON 형태의 데이터를 만들어 주고 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그래서 웹 개발을 JSON 상하차라고 말하기도 합니다.웹 개발에서는 HTTP 통신 즉, 요청과 응답이 중요하기 때문에 윈도우용 SW를 개발할 때처럼 IDE에서 직접 테스트 및 디버깅을 할 수가 없습니다.프론트엔드의 경우 브라우저를 계속 새로고침하면서 결과를 직접 눈으로 보고 개발을 진행하면 되지만백엔드에서 개발한 API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테스트 코드나 함수를 만들어줘야 하는 불편이 따릅니다. Postman을 이용하면 손쉽게 특정 URL로 요청 데이터를 만들어서 던지고 바로 응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ostman라는 말 그대로 우체부 아저씨처럼 데이터를 실어 날라주는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4. 6. 11.
Github Action을 이용한 개발 서버 자동 배포 git을 이용한 일반적인 개발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개발자는 각자의 브랜치 로컬 저장소에 작업한 내역을 Commit합니다.그리고 커밋들을 원격 저장소로 Push하고 관리자에게 Pull request를 보냅니다.PR 관리자가 소스를 검토하고 Master 브랜치와 Merge하면 개발자들이 수정한 내역들이 하나로 통합되게 됩니다. Github Action이란 Github Action은 커밋, 푸쉬, 풀 리퀘스트 같은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빌드, 테스트, 배포가 이루어지도록 Github에서 제공하는 기능입니다.어떤 Event가 발생하면 하나 이상의 Jobs를 포함하고 있는 Workflow가 실행됩니다. Workflow는 수동으로 또는 스케줄러에 의해서 실행될 수도 있습니다. Workflow는 YAML 파일로.. 2024. 6. 4.
블로그 글에 신뢰를 더하는 소제목 디자인 개인적으로 웹 페이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능적인 부분보다도 UI/UX라고 생각합니다.너무 오래된 디자인이나 기본 기능만 사용해서 쉽게 만든 사이트를 보면 뭔가 피싱 같기도 하고 오래된 정보가 있을 것 같기도 해서 신뢰가 잘 안 가죠.이렇게 말하는 저도 2년이 넘도록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디자인을 바꿔볼 생각은 안 하고 있다가 오늘 주말을 맞아 간단한 변화를 줘 봤습니다.메뉴나 메인 화면 같은 것도 이것 저것 바꿔줄 수 있지만 이 곳은 유입의 90% 이상이 구글 검색을 통해 포스트 단위로 들어오고 있기 때문에 일단은 포스트 자체만 신경 써보기로 합니다. 전체 CSS 편집하기 티스토리 기준이지만 다른 플랫폼에서도 html/css를 직접 편집하는 기능이 있다면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블로그 관리 홈 .. 2024. 6. 2.
로드 밸런서의 헬스 체크 로드 밸런서 Load Balancer란 로드 밸런서는 서버의 부하 Load를 분산 Balancing하는 네트워크 장비 또는 소프트웨어입니다.회사를 다녀보면 동료들이 모두 똑같이 일을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누구는 매일 6시만 되면 집에 가고 누구는 매일 늦게까지 남아서 일을 하죠. 물론 능력의 차이도 있겠지만 일이 고르게 분배되지 않기 때문입니다.좋은 체계와 상사가 있는 회사에서는 일감을 적절하게 분배해서 나눠주기 때문에 구성원의 불만과 피로도가 적고, 과부하로 인해 갑자기 멈추거나 폭발하는 사람도 없을 겁니다.로드 밸런서가 바로 이런 역할을 합니다.사용자의 요청이 들어오면 연결된 웹 서버 또는 WAS로 요청을 전달해 주고 서버들이 열심히 일을 해서 만들어낸 결과물을 다시 사용자에게 보여줍.. 2024. 6. 2.
엑셀로 대량의 쿼리문 생성하기 다른 DB에서 옮겨오는 경우라면 DB툴에서 SQL문으로 내보내기 같은 기능을 활용하면 됩니다.계속 반복되는 작업이라면 엑셀을 읽어서 DB에 넣어주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도 방법입니다.하지만 일회성으로, 엑셀로 받은 대량의 데이터를 DB에 INSERT하려고 할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엑셀을 이용해서 간단하게 쿼리문을 생성할 수 있었습니다. ABCD1col1col2INSERT INTO SOME_TABLE VALUES2key1value1('key1','value1'),3key2value2('key2','value2'), 위와 같이 키-밸류 형태의 데이터를 이용해 D열에 쿼리문을 생성해보겠습니다.엑셀에서는 다른 셀의 값을 참조할 때 &기호를 사용합니다.B2의 key1은 &B2&로 C2의 value1은 &C2&.. 2024. 5. 30.
API 단계별로 완벽하게 이해해기 1 개념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드는 행위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 블록들을 적절하게 배치하고 결합하는 테트리스와 유사합니다.차이가 있다면 테트리스의 블록은 모두 같은 게임 회사에서 만든 것이기 때문에 블록의 모양을 보고 잘 쌓기만 하면 되지만,개발을 위해 사용하려는 블록들은 육안으로 식별이 불가능하고 제각각 다른 제조사에서 만들어낸 것이기 때문에돋보기를 들고 코드를 하나하나 뜯어보기 전에는 이게 어떻게 생긴 블럭인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는 점입니다.그래서 각 제조사에서는 아래와 같이 우리 블록을 사용하려면 이렇게 하세요 라는 내용을 담은 설명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www.A.com/shape 라는 주소로GET 요청을 보내면이 블록이 어떻게 생겼는지 알려드릴게요! 이렇게 요청.. 2024. 5.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