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inux Unix5

Ubuntu Server에서 Wifi가 잡히지 않을 때 발단 집에서 주로 데스크탑을 쓰다보니 기존에 사용하던 노트북이 일자리를 잃게 되었습니다. 비싼 건 아니지만 노는 꼴을 못 보는 저는 Ubuntu server를 설치하여 장난감으로 써보는 생각을 했죠. 그런데 막상 검은 화면에 글씨만 둥둥 떠다니는 상태로 만들고 보니 활용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 같아 Ubuntu desktop을 설치해주었습니다. 그러자, 와이파이가 잡히질 않습니다. 이렇게 와이파이 어댑터가 없다고 나오고 당연히 와이파이 검색도 되질 않습니다. 드라이버 문제인 줄 알고 온종일 인터넷을 뒤져가며 삽질을 했지만 해결이 되질 않았습니다. 분명히 Ubuntu server를 설치하면서 와이파이를 잡았었는데 Ubuntu desktop을 깔았다고 와이파이가 고장이 났다...? 해결 이제부터 와이파이를 잡.. 2023. 10. 12.
[Linux] chmod로 권한 변경하기 $ ls -l 은 현재 폴더의 파일 목록 및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이고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 필드 drwxr-xr-x는 첫 번째 자리 문자( d )로 파일 유형을, 뒤의 9자리(rwxr-xr-x)로 권한 permission을 나타냅니다. 참고로 그 다음 필드는 소유권자, 파일크기, 생성날짜와 파일명을 나타냅니다. 파일 유형 위 사진에서 d 는 디렉터리, - 는 일반 파일, l 은 링크입니다. 그 밖에 b 는 블록 장치 특수 파일, c 는 문자 장치 특수 파일, p 는 파이프, s 는 소켓을 의미합니다. 권한 r 은 read w 는 write x 는 execute를 의미합니다. d 와 - 이외 유형의 파일들은 특수 파일로, 실행할 수 없기 때문에 실행 권한은 의미가 없게 됩니다. 9자리.. 2023. 2. 20.
리눅스 (AWS) - 스왑 메모리 설정 방법 AWS ec2에서 프리티어(무료)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본 메모리는 1기가입니다. 이것도 감지덕지이지만 웹서버와 DB 등 여러 프로그램을 구동하기에는 가혹한 용량입니다. 그래서 스왑 메모리를 설정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실제 물리 메모리가 부족할 때 HDD 또는 SSD 등 디스크의 일부 공간을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것을 가상 메모리라고 합니다. 윈도우즈에서도 가상 메모리가 사용되며, 컴퓨터에 대해서 공부해본 사람에게는 매우 익숙한 개념입니다. 리눅스의 스왑 메모리는 이런 가상 메모리를 말합니다. 디스크 공간을 메모리로 대체한다는 의미에서 스왑이라고 이름지은 것이겠죠? 스왑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해 스왑 파일을 생성한 다음 스왑 공간에 추가해주도록 하겠습니다. AWS 뿐 아니라 일반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도 다음과.. 2022. 8. 3.
자주 쓰는 Vi/Vim 편집기 단축키 Insert mode로 전환 - i Command mode로 전환 - esc 종료하기 - : q 저장하지 않고 종료 : q ! 저장 후 종료 : wq 한 줄 복사하기 - yy 붙여넣기 - p 한 줄 잘라내기 - dd 여러 줄 선택하기 - v 누른 후 방향키로 이동 복사 - y 잘라내기 - d 검색하기 - /검색할단어 + 엔터 다음단어 : n 이전단어 : N 2021. 5. 19.
WSL) Symbolic link 이용해 windows 파일 작업하기 1. 하나의 파일을 windows와 ubuntu 를 이용해 번갈아가며 작업하고자 할 때, 매번 파일을 windows로 복사하거나 일일이 /mnt/c... 이하의 경로를 입력해 windows 파일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다. 심볼릭 링크(소프트 링크)를 이용하면 ubuntu 와 windows 작업공간을 동기화 시킬 수 있다. 2. 심볼릭 링크는 윈도우에서의 바로가기와 같은 개념이다. 원본 파일에 대한 링크를 설정하여 다른 위치에서 해당 파일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된다. 유사한 개념으로 하드링크가 있는데, 하드링크는 두 파일의 inode(파일, 디렉토리의 고유번호)가 같다. 즉, 실제로 디스크에는 하나의 파일만이 기록되어 있고 이를 참조할 수 있는 경로가 두 가지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둘 중 하나.. 2021. 5. 19.
반응형